과민성 대장증후군

  • 과민성 대장증후군 이란? 
  • 장관의 기질적 이상 없이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복통, 복부 불편감 및 배변 장애를 말합니다. 내시경, X-ray 검사 등 여러 가지 검사로 확인되는 질환은 없지만, 식후나 스트레스 상황에서 복통, 복부 팽만감, 설사, 변비 등의 배변 장애 증상이 유발되는 만성적인 질환이며, 소화기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의 약 28%가 진단될 만큼 흔하게 발생합니다.
  • 과민성 대장증후군의 증상
  • 복통 혹은 복부 불편감, 복부 팽만 대장이 과민해진 경우 대장이 지나치게 움직여 설사가 유발되거나, 이와는 반대로 움직임을 급격히 멈춰 변비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. 즉, 과민성 대장증후군 환자는 설사 또는 변비, 혹은 두 가지 모두가 규칙적으로 반복되며 만성적인 복통에 시달립니다. 심한 복통도 배변 후에는 대부분 호전됩니다.
  • 속쓰림, 연하곤란 (상부위장관 증상)
  • 전신피로, 두통 (전신 증상)
  • 과민성 대장증후군의 원인
  • 아직까지 과민성 대장증후군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. 유전적 요인, 불안 및 스트레스와 같은 정신적 요인, 과음, 자극적인 음식, 불규칙한 식사, 편식,
    특정한 음식에 대한 과민반응이 주요 요인입니다. 최근에는 대장 내 상주균의 구성이 비정상적으로 변하는 것이 과민성 대장증후군 환자 중 일부에서는 원인으로 생각되기도 합니다.
  • 과민성 대장증후군의 치료
  • 생활습관개선
    심리적 불안과 갈등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중요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규칙적인 운동과 명상과 휴식을 취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. 미지근한 물을 자주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.
  • 식이요법
    평소 먹었을 때 자극이 되었던 음식을 파악하고 이런 음식들을 피하도록 합니다. 식이섬유가 풍부한 과일을 먹으면 변이 정체되지 않아 좋으나, 오렌지같이 장에 자극을 주는 과일은 되도록 피하는 게 좋습니다. 카페인, 술, 밀가루, 인스턴트 음식, 기름진 음식 등의 식이를 피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. 가스가 많이 차는 환자는 껌, 캔디, 콩, 우유 등이 원인인 경우가 많으므로 조절을 한다.
  • 약물요법
    ① 진경제 : 소화관 평활근의 수축이나 경련으로 유발되는 통증을 완화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됩니다. 식전 30분에 복용하면 위장 반사 억제 효과로 식후 설사나 경련의 증상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    ② 지사제 : 장 통과 시간을 지연시키고, 수분의 흡수를 증가시키며, 항문 괄약근의 압력을 증가시킵니다. 그러나 야간에 복통을 유발할 수 있으며, 용량 초과 시 변비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.
    ③ 완하제 : 변의 양을 증가시키는 부피성 완하제는 자극성 장 증후군의 변비를 치료하는 데 사용합니다. 배변 횟수를 증가시키고 배변을 원활하게 합니다. 부작용은 장내 세균의 작용에 의한 가스 생성입니다. 복부 팽만감과 불편감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.
    ④ 프로바이오틱스 : 요구르트처럼 생균이 포함된 기능성 음식입니다. 장의 과민성을 줄여주고, 장 운동 기능을 개선합니다.
    ⑤ 항생제 : 소장 세균의 과증식이 원인일 때 항생제 치료를 시도해 봅니다.
    ⑥ 항우울제 : 자극성 장 증후군 환자에게 공항 장애, 우울증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으며, 항우울제에는 우울을 조절하는 기능 이외에 신경 조절, 진통 기능이 있습니다.

추천검사

염증성 장질환

  • 염증성 장질환 이란? 
  •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은 장에 생기는 만성 염증으로서 증상, 병의 경과 및 치료 방법 등이 비슷하기 때문에 이들 질환을 총칭하여 염증성 장질환 이라 부릅니다.
    염증성 장질환은 적어도 6개월 이상 지속되는 장의 만성 염증성 질환입니다.
  • 염증성 장질환의 증상
  • 대표적인 증상은 설사, 복통, 열, 등을 일으키는 것이 일반적이며, 혈변 및 체중 감소로 악화와 호전을 반복합니다. 염증성 장질환의 경우 혈액과 점액이 섞여 있는 설사를 할 때가 있는데, 때때로 고름도 들어 있습니다. 또한 크론병 환자의 경우 약 2/3은 치루, 치열, 항문 주위에 농양과 같은 항문 질환을 동반하고 있으며, 전신 증상으로 관절통, 관절염, 피부, 눈 등에도 자가 면역성 질환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.
  • 염증성 장질환의 원인
  • 염증성 장질환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. 세균이나 아메바로 생긴 설사 후 또는 항생제 치료에 대한 반응 후에 발생할 수 있으며, 또한 신체 자체 조직에 대한 비정상적인 면역반응이 발병과 연관이 있다는 이론도 있습니다.
  •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
  • 약물 치료
    - 항염증제 (설파살라진, 메살라민)
    - 부신피질호르몬 제제 (하이드로 코티손, 덱사, 피디, 메드론): 강력한 항염증 작용을 하여 염증이 심할 때에 사용
    - 면역 억제제 (아자치오프린, 퓨리네톨): 스테로이드를 줄이거나 끊기 위해 사용
    - 항생제 (메트로니다졸, 시프로베이): 장의 염증을 가라앉게 하기 위해 사용
    - 철분제: 철 결핍성 빈혈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사용
  • 수술적 치료
    3개월 간 약물치료를 해도 반응하지 않은 경우, 독성 거대 결장, 장협착, 누공, 심한 출혈 등의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에 수술로 치료해야 합니다.

추천검사

구조적 이상으로 설명할 수 없으므로 특정 검사 방법으로 진단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.

대장용종

  • 대장용종 이란? 
  • 용종의 조직소견에 따라 악성 및 양성 용종이 있으며, 양성 용종에는 조직소견에 따라 선종, 과형성 용종, 염증성 용종 등 여러가지 종류가 있습니다.
    대장용종 중에서 선종은 암의 전구 병변이므로 대장 내시경검사를 통해 이러한 용종을 제거하는 것은 대장암의 예방에 아주 중요합니다.
  • 대장 용종의 증상
  • 대부분의 대장 용종은 증상이 없으나 크기가 큰 용종이 있을 경우 대변에 피가 묻어 나오거나 혈변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며, 크기가 많이 클 경우 장폐쇄가 생길 수 있습니다.
  • 이외에도 끈끈한 점액변, 변비, 설사, 복통 등을 유발하기도 합니다.
  • 증상이 없는 경우 검진으로 시행하는 분변잠혈검사에서만 양성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.
  • 대장용종 절제술 
  • 용종을 제거하는 방법은 용종의 크기, 모양, 제거 전 조직학적 소견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, 크기가 5mm 이하로 적은 양성 종양의 경우는 생검 겸자로 제거하기도 하며, 대부분 용종절제술, 내시경점막절제술, 내시경점막하박리술 등 내시경적인 방법으로 제거가 가능합니다.
    • 대장용종절제술시 주의해야 할 점과 합병증
    • 대장용종을 제거한 환자는 향후 대장용종이나 대장암이 발생할 위험이 증가할 수 있기때문에 대장내시경검사를 위한 추적검사가 필요합니다. 용종의 개수, 크기 및 조직검사 결과 등에 따라서 추적검사 시기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.
  • 대장용종 예방법
  • 서구화되면서 대장암이 증가하는 만큼 대장용종도 증가하고 있습니다.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지방식을 줄이고 섬유소 섭취를 많이 하는 것이 좋습니다.
  • 섬유소가 많은 식품 : 섬유소란 사람의 소화 효소로 분해되지 않아 그대로 대변으로 나올 수 있는 식품 섬유를 말합니다. 몸에 들어온 섬유소는 스폰지처럼 수분을 머금어 대변량이 많아지고 부피가 커져서 대변이 장벽을 눌러 장 운동이 항진되어 대변을 잘 볼 수 있게 합니다. 이렇게 되면 대변이 빨리 배출되어 몸에 해로운 물질이 흡수되는 시간이 짧아집니다.
  • 섬유소는 특히 곡류에 많이 들어 있는데 보리미숫가루, 보리쌀 등이 섬유소가 많은 곡류이고, 모든 버섯류, 물미역, 김, 파래 같은 해조류, 그리고 과일류로는 복숭아, 대추, 야채로는 고추, 갓 등이 섬유소가 많은 식품입니다. 그리고 전분이 많은 고구마, 도토리 등에도 섬유소가 많습니다.
  • 주의 : 섬유소를 먹을 때는 물을 많이 마셔야 합니다. 그렇지 않으면 오히려 변비가 올 수 있습니다. 섬유소를 많이 섭취하면 방귀가 자주 나오는데 불편하기는 하겠지만 의학적으로는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.
  • 용종의 치료
  • 일부 용종, 특히 선종의 경우에는 제거되지 않고 두었을 때 암으로 진행하므로 반드시 제거해야하며, 특히 크기가 큰 용종은 작은 용종에 비해 암 발생의 위험이 높으므로 반드시 치료를 해야합니다.
  • 대부분의 용종의 경우 내시경 절제술로 제거하며, 일부 크기가 아주 크거나 내시경으로 제거하기 어려운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수술로 제거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

추천검사

대장암

  • 대장암 이란? 
  • 대장은 결장과 직장으로 구분되고 결장은 다시 맹장, 상행결장, 횡행결장, 하행결장,에스(S)결장으로 나누어집니다. 대장암은 각각 결장과 직장의 점막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을 의미하며, 에스(S) 결장과 직장에서 가장 자주 생깁니다. 암 발생률은 맹장 15%, 상행결장 5%, 횡행결장 10%, 하행결장 3%, S 결장 29%, 직장 38%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.
  • 대장암의 증상
  • 초기 대장암 환자들은 대부분 별다른 자각 증세를 느끼지 못하고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대장 내시경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진행암의 경우 70% 이상의 환자들이 증상을 느낍니다.
  • 우측 대장암: 소화 장애, 혈변(특히 검은색 변), 복통이 주증상, 암이 진행되면 체중 감소, 전신 무기력, 만성 실혈에 의한 빈혈 증상인 어지러움, 빈맥, 숨이 차는 증상이 동반되기도 합니다.
  • 좌측 대장암: 혈변(핏덩어리 또는 선혈이 섞인 변), 배변 습관의 변화, 잔변감, 변 굵기 감소, 점액 변, 복통 등의 증상, 이외에도 체중감소, 배뇨곤란(직장과 마주하고 있는 방광이 눌리면서)

대장암의 원인

  • 대장암의 원인
  • 환경적 요인: 식생활과 생활습관 (과다한 동물성 지방 섭취 및 육류 소비(특히 붉은 고기), 섬유질 섭취 부족, 비만, 음주, 흡연 등)
  • 대장암의 가족력: 부모 중에 대장암 환자가 있으면 그 자손에서는 대장암의 발생율이 2~3배 증가
  • 대장암의 과거력: 예전에 대장암이 발생한 사람에서의 대장점막은 암발생의 소지가 정상인보다 높은 상태일 가능성이 있습니다.
  • 선종성 용종의 과거력 또는 가족력: 과거 선종성 용종이 발견되어 제거한 사람은 추적 대장내시경을 받아야 하며, 선종이 전혀 없는 사람에 비해서는 대장암에 발생할 위험성도 더 높습니다.
  • 50세 이상: 대부분의 암은 중년 이후에 생깁니다. 드물게 20-30 대에 걸리는 경우도 있지만, 대장암 역시 50세 이상부터 발생률이 크게 증가합니다.
  • 대장암의 치료
  • 내시경을 이용한 내시경 점막하절제술
    대장암의 전단계인 용종이나 용종에 국한된 초기의 대장•직장암의 경우에는 용종절제술이나
    내시경점막하박리술 등의 기법을 이용하여 대장내시경으로도 치료가 가능합니다.
  • 근치적 위절제술
    암의 위치 및 성장 특성, 현미경적 소견 등을 고려하여 암 부위와 파급 위험이 있는 장간막, 혈관, 림프절을 동시에 넓게 제거하며,
    수술 방법으로는 개복수술, 복강경 수술, 로봇 수술 등이 있으며 암의 위치와 진행 상태에 따라 결정됩니다.
  • 항암화학요법
   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는 재발을 줄여 완치율을 올리고자 시행합니다.

추천검사